클라우드와 관련된 직무는 많다.
IT Sales, Digital Marketing, System Engineer, Techincal Sales Engineer 등 - 클라우드 판매자측
Solutions Architect, Account Manager, Cloud Engineer, Support Engineer 등 - 구매자측??
커리어를 바라보는 두가지 관점
기술/ 비지니스
기술 : 클라우드와 관련된 어떤 기술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IaaS, SaaS, Developer, Hardware/Solution Vendor 등등.
비지니스 : 클라우드를 사용하여 어떤 비지니스를 어떻게 만들 것인가.
클라우드 서비스 회사, 클라우드 솔루션 회사, 클라우드 고객사 등등.
1. 취업과 이직
(1) 연결성
과거에 내가 한 경험, 내가 가진 스킬과 회사가 하는 업무와의 연결성 강조. 회사에 내가 맞는 인재라는 것을 어필.
기업에 나를 세일즈하자.
내가 원하는 회사, 또는 직무에 맞춰 커리어를 쌓아가자.
(2) 빌드업
인기있는 현업자들의 이력서, 스킬, 기술, 자세 등을 보고 배우자.
5/10/15년 단위로 보는것도 좋음.
거꾸로 생각하기.
사람: 다양한 사람을 만나서 인연을 맺고, 그 사람의 커리어 변동을 봐보자.
직무, 직장 : 특정 직무나 직장에서 필요로하는 가치를 파악하고, 그것을 내것으로 만들자.
2. 아마존의 혁신 문화
문화, 매커니즘, 조직, 아키텍쳐
(1)문화
Day1 Culture. 언제나 1일차인 것처럼.
일상적으로 16개의 리더십 원칙을 적용.
one-way door : 일방 통행. 돌이킬 수 없는 결정.
two-way door : 양방향 통행. 재고할 수 있는 결정.
(2) 매커니즘
선순환.
상황에 따라 고객의 만족도 등을 위해 아예 생산 과정을 멈춤.
거꾸로 생각하기.
내가 가진 기술을 파는게 아니라 필요한 기술을 만들어 파는 방식. 이미 기술이 만들어졌다고 생각하고, 그에 맞춰 약점 등을 파악해서 보완해가는 방식. 점차 구체화해감.
(3) 조직
Two-Pizza 팀.
피자 두개를 먹을 정도의 팀. 빠르게 의사 결정이 가능하면서 효율적인 단위.
(4) 아키텍처
셀프 서비스.
도구만 제공하고 만드는 것은 고객이 한다.
3. 신입사원이 가져야할 자세
주도적으로 일하기. 호기심 갖기. 깊이 파고들기. 행동하기.
(1) 업무의 목적과 배경, 기한 등의 제반사항을 먼저 파악한다. 주로 지시자에게..
(2) 비슷한 업무를 해본 경험이 있는 사람에게 단순한 보고가 아닌, 좀더 진지하고 깊은 대화. 지시자의 관점 파악도 가능.
신입의 특권. 질문.
염재윤 강사. 세일즈포스.
-----------------------------------------------------
커리어 토크
김용기 강사
솔루션 아키텍트
고객의 성장을 도와주는 역할.
어카운트 SA, 파트너 SA, 스페셜리스트 SA
어카운트 : 전반적으로 전부.
파트너 : 외부에서 판매하는 특정 솔루션들을 클라우드 상에서 사용하는 것을 도와줌
스페셜리스트 : 특정 서비스에 전문화
고객 influence, 조직 influence, 사고 리더십.
결과를 기반으로 행동.
결과를 위해 어떤 행동을 할지 결정. 결과가 명확하지 않으면 하지 않는다.
AWS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더라도 기반 지식이 있다면 서류 통과는 가능.
신입의 경우 실제 서비스에서 일어나는 트러블슈팅 해결을 기대하지 않음.
기반 기술(지식)은 네트워크 7레이어처럼 스스로 공부 가능한 정도.
---------------------------------------------------------
커리어 토크
SA 란
고객의 요구를 파악하고 인프라와 아키텍쳐를 구축하는 일
1. 현황분석
2. 아키텍처 설계
3. 인프라 구축
쿠버네티스, 테라폼을 사용해보자.
전공 기초지식에 대한 검토.
자소서에 기술된 프로젝트를 구체적으로 설명할수 있어야 함.
신입인 만큼 기초적인 내용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야 한다.
적극성과 자세가 중요.
----------------------------------------------------------------------------------------------------
“STAR” 방식은 S(Situation): 주어진 그 당시 상황을 말하고, T(Task) 그때 내가 하게 된 역할이나 업무가 무엇이었고, A(Action) 내가 어떻게 행동을 했으며, R (Result) 그 행동이 어떠한 결과를 만들었는지 설명하는 방식이다.
자소서, 이력서를 이런 식으로.
두괄식. 한문장으로 먼저 요약을 해두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