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존주입2

(7)의존 관계 주입 의존 관계 주입의 4가지 방법 의존 주입에는 4가지 방법이 존재한다. 1. 생성자 주입 2. 수정자 주입(setter 주입) 3. 필드 주입 4. 일반 메서드 주입 1. 생성자 주입 생성자 함수를 통한 주입 방법으로, 주입받는 의존관계 객체가 코드가 진행되는 동안 불변하며 필수적일 경우 사용한다. public class TowAlphabet { private final Alphabet first; private final Alphabet second; @Autowired public TowAlphabet(Alphabet a, Alphabet b) { first = a; second = b; } } 만약 생성자가 딱 1개만 있으면 @Autowired를 생략해도 자동주입이 된다. public class To.. 2023. 5. 22.
(2) 스프링을 활용한 DI 앞서 보았던 순수 자바코드만을 활용한 DI는 한눈에 의존관계를 파악하기 힘들었다. 스프링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Bean 컨테이너를 제공한다. Bean이란 스프링에서 관리해주는 객체를 의미한다. 만약 어떤 객체가 빈으로 등록되어 있다면, 그 객체를 주입 받을때 스프링 컨테이너에서 자동으로 해주기때문에 편리하다. 먼저 주입 객체들을빈으로 등록하자. # Config @Configuration public class Config { @Bean public Alphabet alphabet(){ return new B(); } } @Configuration : 스프링 설정 클래스라는 것을 의미한다. 빈을 수동으로 등록해줄수 있다. @Bean : 메서드의 반환 객체를 빈으로 등록한다. 빈 이름은 메서드 이름.. 2023. 5.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