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orm2

데이터의 전송 타입( Get/ Post) form태그를 통한 이해 html form태그의 method를 통해 입력받은 데이터의 전송 타입을 정할수 있다. post와 get 둘로 나뉘어 지는데, 두 방식의 가장 큰 차이점은 데이터의 가시성이다. get방식은 서버로 보내는 데이터를 URL에 담아서 전송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물론 제 3자도 어떤 데이터를 보냈는지 쉽게 확인 가능하다. post방식은 서버로 보낼때 HTTP메세지의 바디 태그에 담아서 보낸다. 여서기 HTTP메세지는 데이터의 전송 목적으로만 일시적으로 사용되는 일종의 포장 박스처럼 생각하면 된다. 그러나 은닉일뿐 암호화가 아니기에 보안에 더 뛰어나다고는 볼 수 없다. 둘의 차이를 확인해보자. 1.get방식 2. post 방식 언뜻 보면 post방식이 더 보안적일것 같지만, post방식 .. 2023. 1. 25.
21일차 html 은 근본적으로 재미가 없다. 거기에 외워야할 태그는 산더미여서 더더욱 재미가 없다. 태그 : 이미지를 넣는다. src속성 : 이미지의 주소나 파일 이름을 넣는다. alt 속성 : 이미지가 없을때 대신 나오는 문구 width height : 이미지의 가로/세로를 정하는 속성 이미지 늘리거나 줄이기 : 본래 해상도의 비율에 맞춰서 늘리거나 줄인다. 이미지 해상도 1280 x 853 image1.jpg 다운로드 링크 서버에 데이터를 보내는 2가지 방식 1. form 태그 통신: html을 이용 - GET/POST 만 존재함 get : 주소줄에 데이터를 노출시켜서 같이 보냄. post : HTTP body에 데이터를 실어서 보냄 2. JS의 Ajax(비동기통신)/fetch/axios : 리액트.js/V.. 2022. 12.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