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ost2

HTTP 메서드 HTTP API의 종류 URI에서 중요한 것은 리소스이며, 행위(작업)는 method 로 따로 기입한다. 리소스란 조회, 수정, 삭제 등의 행위가 아닌, 그 작업의 대상이 되는 것을 말한다. GET : 리소스를 조회할때 사용 POST : 요청 데이터를 서버에서 처리. 주로 새로운 데이터를 등록할때 사용. PUT : 기존 리소스를 대체. 해당 리소스가 없다면 새롭게 생성 PATCH : 리소스 부분 변경. 주로 수정에 사용. DELETE : 리소스 삭제 이외에 기타 메서드로 HEAD, OPTIONS 등이 존재한다. 1. GET 서버에 전달하고 싶은 데이터는 query를 통해 전달한다. 최근 들어 스펙상으로 메시지 바디를 통해 전달할수 있지만, 지원하지 않는 서버가 많기에 권장하지 않는다. 2. POST 요청.. 2023. 9. 5.
데이터의 전송 타입( Get/ Post) form태그를 통한 이해 html form태그의 method를 통해 입력받은 데이터의 전송 타입을 정할수 있다. post와 get 둘로 나뉘어 지는데, 두 방식의 가장 큰 차이점은 데이터의 가시성이다. get방식은 서버로 보내는 데이터를 URL에 담아서 전송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물론 제 3자도 어떤 데이터를 보냈는지 쉽게 확인 가능하다. post방식은 서버로 보낼때 HTTP메세지의 바디 태그에 담아서 보낸다. 여서기 HTTP메세지는 데이터의 전송 목적으로만 일시적으로 사용되는 일종의 포장 박스처럼 생각하면 된다. 그러나 은닉일뿐 암호화가 아니기에 보안에 더 뛰어나다고는 볼 수 없다. 둘의 차이를 확인해보자. 1.get방식 2. post 방식 언뜻 보면 post방식이 더 보안적일것 같지만, post방식 .. 2023. 1.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