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49

(6)빈 자동 등록과 자동 주입

@ComponentScan 과 @Autowired 개발자의 편의를 위해 @Configuration 클래스 내에서 @Bean을 통해 수동으로 등록하지 않고 자동으로 등록하는 방법이 존재한다. @ComponentScan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면, @Component 어노테이션이 붙은 클래스가 자동으로 빈으로 등록된다. 빈 이름은 첫글자가 소문자인 클래스 이름 그대로 설정된다. #AutoAppConfig @Configuration @ComponentScan(excludeFilters = @Filter(type = FilterType.ANNOTATION, classes = Configuration.class)) public class AutoAppConfig { } // 기존에 만든 Config 클래스를 제외하기 ..

공부/springboot 2023.05.15

(5) 스프링 컨테이너 - 싱글톤

스프링은 태생적으로 웹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되어 있는데, 웹 어플리케이션은 보통 같은 요청이 동시다발적으로 들어오곤 한다. 만약 100명의 고객이 동일한 요청을 한다고 가정해보자. 그러면 동일한 역할을 하는 객체를 100개를 생성하게 될 것이다. 그런데 그 요청이 모든 고객에게 공통적인 사항이라면 (ex - 공지사항 출력, 판매 상품 출력 등) 100개의 객체를 생성하는 것보다 1개의 객체를 100명이 공유하는게 메모리 측면에서 더 효율적일 것이다. 즉, 싱글톤을 사용해야 한다. 순수 싱글톤 만들기 자바 코드를 사용하지 않고 싱글톤 패턴을 만들수 있다. 핵심은 아래와 같다. 1. static키워드를 사용해서 미리 자신의 인스턴스를 만들어두고, final키워드를 더해 재할당이 안되도록 만든다. 2. 매개변수..

공부/springboot 2023.05.14

(4) xml을 통한 빈 등록과 BeanDefinition

빈을 XML로도 등록이 가능하다, 이는 매우 귀찮고 최근에는 사용하지 않는 한물간 방식이다. 따라서 등록 원리에 대해서만 간단하게 설명하고 넘어가도록 하겠다. ApplicationContext ac = new GenericXmlApplicationContext("appConfig.xml");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처럼 GenericXmlApplicationContext를 사용해 xml파일을 넘기면, 해당 파일 내부에서 Bean으로 등록하도록 설정한 클래스들이 빈으로 등록된다. 아래의 xml파일을 보자. id 는 빈이 등록되는 이름, class는 빈으로 등록할 클래스의 경로가 된다. 만약 빈으로 등록하려는 객체가 생성자 함수를 통해 매개변수를 주입받아야 하면 다..

카테고리 없음 2023.05.10

(3) 스프링 컨테이너와 빈 조회

스프링 컨테이너 스프링 컨테이너의 종류 BeanFactory 스프링 컨테이너 최상의 인터페이스다. 스프링 빈을 관리, 조회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getBean()을 비롯하여 다수의 기능을 제공한다. ApplicationContext BeanFactory를 상속받는 인터페이스다. 국제화기능, 환경변수, 어플리케이션 이벤트 등 다양한 추가 기능을 제공한다. BeanFactory를 직접 사용할 일은 거의 없다. 부가기능이 포함된 ApplicationContext를 사용한다. BeanFactory나 ApplicationContext를 스프링 컨테이너라 한다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 ApplicationContext의 구현체다. 생성자 함수에 @Configuration 클..

공부/springboot 2023.05.10

(2) 스프링을 활용한 DI

앞서 보았던 순수 자바코드만을 활용한 DI는 한눈에 의존관계를 파악하기 힘들었다. 스프링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Bean 컨테이너를 제공한다. Bean이란 스프링에서 관리해주는 객체를 의미한다. 만약 어떤 객체가 빈으로 등록되어 있다면, 그 객체를 주입 받을때 스프링 컨테이너에서 자동으로 해주기때문에 편리하다. 먼저 주입 객체들을빈으로 등록하자. # Config @Configuration public class Config { @Bean public Alphabet alphabet(){ return new B(); } } @Configuration : 스프링 설정 클래스라는 것을 의미한다. 빈을 수동으로 등록해줄수 있다. @Bean : 메서드의 반환 객체를 빈으로 등록한다. 빈 이름은 메서드 이름..

공부/springboot 2023.05.10

(1) 스프링 사용하지 않고 OCP, DIP 지키기

아래의 코드는 Alphabet 이라는 인터페이스와 그를 상속받는 A, B의 클래스다. 여기서 className 이라는 메서드는 각각 자신의 클래스 이름 A, B를 출력하게 된다. # 인터페이스 public interface Alphabet { void className(); } # 구현체 A public class A implements Alphabet{ @Override public void className() { System.out.println("A"); } } # 구현체 B public class B implements Alphabet{ @Override public void className() { System.out.println("B"); } } 이때 인터페이스 Alphabet을 참조하면서..

공부/springboot 2023.05.10

좋은 객체지향이란?

객체지향이란? 현실 세계에서 객체란 물질적으로 존재하는 어떤 사물이나 관념을 의미하나, 코드에서 객체는 메모리에 할당된 클래스(인스턴스) 를 의미한다. 따라서 객체지향적이라는 의미는, 클래스가 하나의 객체, 즉, 개념을 구성한다고 생각하면 편하다. 예를 들어보자. 자동차라는 객체는 어떤 차종 하나를 가르키지 않는다. 네 바퀴가 달리고 사람이나 물건을 실을수 있으며 엔진으로 구동되는 이동수단이라는 개념 그 자체를 의미한다. 자동차의 개념 1. 네바퀴 -- 속성 2. 물건이나 사람을 운송 -- 기능 3. 엔진으로 구동 -- 속성 이를 코드로 치환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public class Car{ private int wheel = 4; // 바퀴의 갯수 private String powerSource ..

공부/springboot 2023.05.10

스프링이란?

스프링의 존재 의의 스프링은 객체지향적인 개발을 도와주기 위한 프레임워크다. 가장 기둥이 되는 아이디어는 비지니스 객체를 관리해주는 컨테이너가 존재하고, 그곳으로부터 객체를 받아온다는 것이다. 이는 EJB(엔터프라이즈 자바 빈즈) 에서 시작된 아이디어이나, 기존의 EJB 프레임워크는 너무 복잡하고 기술 종속적이었기에 객체지향적 개발에 큰 난관이 존재했다.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나온것이 '스프링(Spring)로, EJB라는 기술적 겨울을 몰아내고 봄을 가져왔다는 의미에서 이름을 붙었다. 스프링부트란? 스프링을 편리하게 사용할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술로 최근에는 대다수 기업들에서 이를 사용한다. 빌드 구성의 이점, 관례에 의한 간결한 설정, 라이브러리 자동 구성, 내장 웹서버 등의 편리함을 제공한다.

공부/springboot 2023.05.10

코틀린의 클래스

//ex21 fun main() { //2중 반복문 // ***** // ***** // ***** // ***** // ***** for( i in 0 until 5) { for( j in 0..4 ){ print("*") } println() } //연습문제 // readLine()함수로 n을 입력해서 3이 나오면, // * // *** // ***** // n을 입력해서 4가 나오면 // * // *** // ***** // ******* print("n을 입력하세요: ") // readLine() 함수로 입력받은 값을 정수형으로 변환합니다. val n = readLine()?.toInt() ?: 0 for (i in 1..n) { // 공백 출력 for (j in 1..n-i) { print(" ..

공부/kotlin 2023.03.21

코틀린: 코틀린 함수

코틀린의 함수 코틀린은 함수형언어와 객체지향언어를 합쳐놓은 언어이기에, 함수형 언어의 특징을 가진다. 형식 fun 함수명( 매개변수: 타입 ) : 반환값 타입 { return 반환값 } 한줄함수 함수의 본체 코드가 한줄일때는 중괄호와 return 문자를 생략 가능하다. fun 함수명 (매개변수 : 타입) : 반환값 타입 = 반환값 반환형 타입 생략(타입 추론) fun 함수명 (매개변수 : 타입) = 반환값 //ex10 fun main() { //함수의 간략한 표현 println( add(10, 20 ) ) println( add2(10, 20 ) ) println( add3(10, 20 ) ) } fun add(a: Int, b: Int): Int { return a + b } //함수의 본체코드가 한줄..

공부/kotlin 2023.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