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49

MVC -- Model(1): 데이터 전송하기

Model 클래스 model 클래스는 mvc패턴을 따라 웹을 설계할수 있도록 스프링프레임워크에서 지원하는 클래스이다. mvc의 m을 맡고잇는 model은 데이터를 보관하는 역할을 한다. model은 데이터를 controller로 보내거나 받으며, controller는 데이터를 가공하고, view는 받은 데이터를 토대로 화면을 구현하거나, 입력된 controller로 데이터를 보낸다. model에 의해 불러와지는 데이터는 크게 4가지 종류로 존재한다. 내장객체의 생명주기 1. application : 웹브라우져 닫을때까지 객체가 살아있다. 2. session : 로그아웃을 하거나 브라우져를 닫을때까지 살아있다. 3. request : 요청에 대한 응답이 있을때까지 살아있다. 4. model : reques..

공부/springboot 2023.01.25

타임리프 레이아웃

타임리프 레이아웃( ThymeleafLayout) 타임리프에는 레아이웃이라는 기능이 존재한다. 우리가 어떤 웹사이트를 만들때, 각 창에 헤더나 풋터처럼 공통된 부분이 상당부분 존재하게 된다. JS에서는 jQuery의 load함수를 이용해 이런 공통되는 부분들을 코드로 작성하지 않고, html파일 통째로 끌고오는 식으로 구현했던 것과 같이, 타임리프 레이아웃 역시 이를 위한 기능이다. 다만 역시 JAVA답게 그 적용방식이 JS보다 훨씬 복잡하다. 사용법 1. 타임리프와 타임리프 레이아웃을 html파일 상단에 끌고온다. 2. 공통 양식 코드만 작성한 html 파일을 만든다. 공통적인 부분의 html은 각각 다른 파일을 만들어 코드를 작성하자. 그렇게 만들어진 파일에 구현된 태그에 th:fragment="he..

공부/springboot 2023.01.25

자바(java)의 생성자 함수

생성자 함수 (Constructor) : 객체 생성시 자동으로 호출되는 함수 형식 public 클래스이름() { } - 다른 함수들과 달리 int나 String처럼 반환형식 지정을 안함. //클래스에서 중요한 개념들 //1.상속 : 모듈화/계층화, 중복제거 //2.생성자함수 : 객체생성시 자동으로 호출되는 함수 //3.다형성 : 상속관계에서 하나의 객체가 여러 타입을 가질수 있다. // : B클래스가 A클래스를 상속했다면, 타입을 B타입,A타입 // 2개 다 타입으로 가질 수 있다. //4.추상화 클래스 : 일반 클래스(일반 함수) + 가상함수 //5.인터페이스 : 인터페이스 타입에 가상함수만 있는 것 //생성자 함수 : Constructor // : 객체생성시(new) 자동으로 호출되는 함수 // 용도..

공부/java 2023.01.23

자바(java)의 클래스 상속

클래스의 상속 10개의 클래스를 만든다고 가정하자. 그 모든 클래스에 똑같은 변수와 함수가 3개씩 있다고 할때, 우리는 총 30번을 중복되는 똑같은 코드를 작성하게 된다. 이처럼 기존에 있는 클래스에서 변수와 함수를 사용하고자 할때, 또는 중복되는 변수와 함수를 하나로 통일하고자 할때, 상속을 이용할수 있다. 클래스의 상속: 클래스 내부의 매소드와 속성(변수)들을 자신의 것처럼 사용가능하게 하는 것 상속의 이점: 코드 중복을 피한다. 계층적인 코드 작성이 가능하다. 상속의 형식 class (자식 클래스) extend (부모클래스) //클래스의 상속 //상속 : 부모의 자산을 자녀가 물려받는 것 //클래스의 상속 : 부모클래스의 자산(함수/변수)를 자녀클래스가 물려받는다. //물려받는다 : 접근권한을 갖는..

공부/java 2023.01.23

자바(java)의 싱글톤 패턴

싱글톤 만들기 싱글톤은 프로그램 안에 유일한 객체를 말한다. 마치 nft코인처럼, 클래스로 만든 객체가 단 하나만 존재하는 객체인 것이다. 만드는 법은 다음과 같다. class UniqueOne{ int no = 1; private static UniqueOnesingleton= new UniqueOne(); static UniqueOne getInstance(){ returnsingleton; } } 이는 하나의 공식과도 같다. 일단 명령어 하나하나 살펴보자. 싱글톤 클래스의 no속성에 10을 부여했다. 그리고 클래스 안에서, 자기 클래스를 객체화 했다. 이때 private 예약어를 써서 캡슐화, 즉, 쉽게 접근 할수 없게 만드는 은닉화를 했고, 이어서 static 예약어를 통해 고정된 메모리 주소값에..

공부/java 2023.01.23

자바(java)의 오버로딩(Overloading)

메소드 오버로딩(Overloading) - 메소드 확장 매개변수의 타입과 갯수를 다르게 함으로서 함수의 기능을 확장하는 것을 말한다. 이를 사용하면 함수를 계속 만들지 않고, 기존에 있는 함수의 매개변수를 달리함으로서 계속 사용 가능하다. static void echo() { //메아리처럼 콘솔에 출력해주는 함수 System.out.println("echo"); } static void echo(int param){ System.out.println("echo:"+param); } 위의 함수를 생각해보자. 함수의 이름이 똑같으나, 밑의 함수는 pram이라는 매개변수를 갖는다. echo(); echo( 10 ); 출력값: 홍길동 홍길동:10 이 기능을 통해 우리는 println에 문자열형과 정수형, 실수형..

공부/java 2023.01.23

자바(java)의 이차원 배열

이차원 정수 배열 리스트 안에 리스트가 존재하는 배열을 말한다. { { 123}, {124}, {125} } 같은 형식을 말한다. 이해하기 쉽게 표처럼 행, 열을 따진다. 말로하면 어렵지만, 그냥 실물을 한번 보면 이해가 되니 읽는게 더 빠르다. public class ex64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2차원 정수배열 // 2행 2열 // 1열 2열 COLUMN int[][] nums = { {10, 20}, //1행 ROW {30, 40} //2행 }; //행index 열index System.out.println( nums[0][0] ); System.out.println( nums[0][1] ); System.out.println( nums[1..

카테고리 없음 2023.01.23

자바(java)의 정렬 알고리즘(버블, 선택, 삽입)

정렬 알고리즘. 기초적인 방법 : 버블정렬, 선택정렬, 삽입정렬 ***Array.sort()함수는 듀얼피봇 퀵정렬이라는 방식을 사용함. 가장 빠르고 효율적이지만 너무 어려운 내용이라 그냥 넘어간다. 버블정렬 가장 비효율적이지만 만들기 쉽고 간단해서 많이 쓰인다. 인덱스 0 부터 인덱스 끝까지 대/소를 비교하고, 만약 상대가 더 크거나 작다면 자신과 데이터를 교환하는 방식. 교환하고도 계속 비교 하지만, 이때도 기준은 인덱스다. 예를 들어보자. 배열 a[ ]를 오름차순으로 정리하고 있다. a[2]의 값을 a[3], a[4] ... a[n]까지 계속 비교하는 도중, a[10]이 자신보다 더 작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럼 이어서 a[2]의 데이터와 a[10]의 데이터를 맞교환한다. 그리고 이어서 바뀐 a[2]를..

공부/java 2023.01.23

자바(java)의 열거형 표현

열거형 열거형: 함수 밖, 클래스 안에서 선언하는 형식 어떤 값을 1이나 2처럼 숫자로 정의하기보다, 문자로 값을 정의하면 가독성이 향상되는 경우 사용한다. 다만 거의 쓰이지 않는다. 예) 문자 야구게임: 0== 스크라이크 1== 볼 변경 전) if( ball == 0 ) => 스트라이크 변경 후) if( ball == Ball.Strike ) 형식 enum 열거형이름 { 상수1, 상수2, ... } //; 을 안쓴다. 순서에 맞추서 정수값이 부여된다. // 정수값 0 1 2 enum Hero { Ironman, Superman, Batman } enum SRP { Sissors, Rock, Paper } enum Ball { Strike, Ball } 열거형 타입을 정수로 출력하고 싶으면 ordinal..

공부/java 2023.01.23

자바(java)의 배열

배열(Array) 만들기 배열은 데이터 나열이 하나로 묶어 연속된 메모리 주소에 저장하는 것이다. 파이썬의 인덱스와 같은 개념. 같은 타입의 데이터를 연속된 공간에 나열한 뒤, 각 데이터에 순차적으로 인덱스를 부여해 다루기 쉽게 만든 데이터 구조다. 만약 1,2,3,4,...10의 숫자가 있다고 가정 하면, 이것을 하나 하나 새로운 변수에 할당하는 대신 10칸으로 나눠진 하나의 통에 넣는거라고 생각하면 된다. 정수형, 문자형 데이터 모두 배열형으로 표현할 수 있지만, 타입이 다른 두 데이터를 하나의 배열에 넣는 것은 불가능하다. 정수형 배열 1.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 int[] arrayNum1 = { 10, 20, 30 }; System.out.println( arrayNum1[0] ); //인덱스 ..

공부/java 2023.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