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프링부트8

MVC -- Model(1): 데이터 전송하기 Model 클래스 model 클래스는 mvc패턴을 따라 웹을 설계할수 있도록 스프링프레임워크에서 지원하는 클래스이다. mvc의 m을 맡고잇는 model은 데이터를 보관하는 역할을 한다. model은 데이터를 controller로 보내거나 받으며, controller는 데이터를 가공하고, view는 받은 데이터를 토대로 화면을 구현하거나, 입력된 controller로 데이터를 보낸다. model에 의해 불러와지는 데이터는 크게 4가지 종류로 존재한다. 내장객체의 생명주기 1. application : 웹브라우져 닫을때까지 객체가 살아있다. 2. session : 로그아웃을 하거나 브라우져를 닫을때까지 살아있다. 3. request : 요청에 대한 응답이 있을때까지 살아있다. 4. model : reques.. 2023. 1. 25.
타임리프 사용법 StaticWeb(정적 웹페이지) static폴더에 html파일을 만들어야 한다 안의 데이터가 입력값이나 다른 요인에 따라 동적으로 변하지 않는 정적인 웹페이지를 말한다. **스프링부트는 따로 맵핑해주지 않아도 초기 값으로 index.html을 초기 페이지로 감지한다. 이는 templates폴더에 있건, resources폴더에 바로 넣건 알아서 찾아진다. **맵핑(mapping) : 미리 url을 지정해두고, 사용자로부터 어떤 요청이 왔을때 자동적으로 해당 url로 가도록 설정하는 것. 스프링부트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서브페이지로 이동 파일 다운로드 링크(png,jpg,pdf,zip) 이미지파일 다운로드 링크 서브페이지 입니다. package com.study.springboot; import org.. 2023. 1. 22.
46일차 복습 public class Member { private String name; public Member(String name) { this.name = name; }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this.name = name; } //싱글톤 만들기 private static Member m = null; public static Member getInstance() { if( m == null ){ m = new Member("홍길동"); } return m; } } 먼저 들어가기에 앞서, 설명을 위한 Member클래스부터 만들자. name필드를 포함한 생성자 함수, get/set함수, 싱글톤 패턴이.. 2023. 1. 19.
45일차 복습 스프링부트 복습. 집에서 복습하고 티스토리에 정리까지할 시간이 도저히 나지 않아서 먼저 복습부터 했다. 이번 설 연휴에 한번 티스토리를 정리하면서 대대적인 개편을 해봐야겠다. 기존의 스프링에서 사용자 편의성을 크게 증가시킨것이 스프링 부트다.따라서 기능적인 차이는 크게 없으나, 스프링 부트를 사용하는 것이 훨씬 편하다. 스프링은 자바에서 서버를 구동하고 코드를 실행하기 위한 프레임 워크다. 자바로 돌아가는 서버와 구동코드라고 생각하면 된다. 시작 https://start.spring.io/ 위 사이트에서 손쉽게 스프링부트 시작 셋팅을 할 수있다. 1. Maven vs Gradle 필요한 라이브러리를 가져오고, 빌드를 관리하는 툴이다. 과거에는 Maven이 주류였으나, 이제는 Gradle가 대세가 되었다... 2023. 1.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