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프링26

General error during semantic analysis: Unsupported class file major version 61 에러 외부에서는 잘 실행되던 스프링 프로젝트가 집에서 실행하니 이런 오류가 발생했다. 원인: 이 에러는 gradle과 jdk의 버전이 맞지 않아서 생기는 에러라고 한다. 자세한 사항은 공식 문서를 참조하자. 강의를 들으면서 제공한 프로젝트를 그대로 가져왔는데, 그로 인한 환경설정 차이가 일어난 것이다. 해결법: jdk 15 버전을 다운받아 적용시켜 해결했다. intellij 에서 자동으로 다운되는 azul - 15 버전을 이용했다. 2024. 1. 10.
인텔리제이에서 properties 파일 한글 깨짐 properties 파일 인코딩이 안되는 문제다. 인텔리제이의 setting 에서 다시 설정해주면 된다. setting -> editor -> file encoding 에서 이처럼 변경해주자 2024. 1. 8.
스프링 테스트 실행시 ClassNotFound 에러 해결방법 1. 인텔리제이 캐쉬 삭제 - 실패 2. 프로그램 실행을 gradle -> intellij 로 변경. jdk 의 버전을 설치된 버전과 일치시키기. 결과: 성공 무사히 테스트가 돌아간다. 정리 : jvm 버전이 안맞아서 생기는 문제. jvm 버전을 다시 설정해주면 된다. 2024. 1. 8.
SpringMVC(3) : 서블릿 요청에 대한 응답 이 게시글에서는 사용자의 요청을 듣고, 서버가 응답해주는 방법을 정리한다. 사용자의 응답 역시 HTTP 메시지 형식인데, 이를 손쉽게 만드는 방법에 대한 내용이다. HTTP 메시지 header 만들기 @WebServlet(name = "responseHeaderServlet", urlPatterns = "/response-header") public class ResponseHeaderServlet extends HttpServlet { @Override protected void service(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throws ServletException, IOException { //[status-line] respo.. 2023. 12. 11.